맥으로 JSP실습을 하기위해 Tomcat을 설치해야되서 여러 검색을 해보았다.
여러가지 있었지만 다들 usr/local에다가 설치를 하라는데 이유를 모르겠다.. 권한 받고 설치가 하기 힘들고 어려워서 내가 직접 글을 남긴다.
참고 페이지 - http://blog.freegians.com/entry/Mac-Tomcat-install
우선 톰캣 홈페이지 - http://tomcat.apache.org 에서 자신이 필요한 톰켓버젼을 받는다
나는 7.0받음.
- 왼쪽 download 메뉴에서 tar.gz 으로 압축된 파일을 다운로드 받으면 된다.
- Binary Distribution 중 Core의 tar.gz를 다운로드 받자.(다운로드 받은 tar.gz 파일은 압축을 풀면 안된다.)
2. 터미널로 접속하여 아래 명령들을 입력한다.
$ sudo sh
(비밀번호를 묻는 창이 나오면 관리자 비밀번호를 입력한다.)
$ mv /[다운받은 파일 경로]/apache-tomcat-[버전].tar.gz /usr/local/
$ cd /usr/local/
$ gnutar -xzvf apache-tomcat-[버전].tar.gz
기존에는 이 윗줄처럼 usr/local이지만 나는 그냥 도큐먼트에 받은 압축파일을 드래그앤드롭한뒤에 압축을 풀었다.
- 먼저 관리자 권한으로 전환후 다운 받은 파일을 /usr/local/ 위치로 옮겨서 설치를 한다. 이때 /usr/local/ 은 관습적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폴더다. -> 왜그러는지 모르다;;
3. 자신의 아이디에 톰캣 실행 권한을 주기 위해 소유주를 변경한다.
$ chown -R [자신의 아이디]:staff /usr/local/apache-tomcat-[버전] // 권한을 주는거라 무조건해야됨
- 이렇게 하면 톰캣 설치가 끝났것이다.
4. 관리자 모드에서 빠져 나온다.
$ exit
5. 톰캣을 실행한다.
이때 톰캣폴더 - bin - startup.sh (그냥 터미널 열고 startup.sh파일 드래그앤드롭하면 실행됨)
종료하는건 shutdown.sh 이거다.
- 톰캣을 실행후 브라우저 주소창에 http://localhost:8080 을 입력하면 톰캣 웹서버의 응답화면을 볼 수 있다.
'Programing > 개발_ti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tip] Quantum 설치 for mac (0) | 2014.10.08 |
---|---|
[tip]Tomcat 설정 (0) | 2014.09.25 |
[tip]블로그에 프로그래밍 소스 포스팅 할때 깔끔하게 올리는 방법 (0) | 2014.09.18 |
[Apache Tomcat] 아파치톰캣 설치및 적용 (0) | 2014.09.16 |
[Eclipse] 이클립스 소스를 html로 변환 (0) | 2014.08.26 |
댓글